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성혜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[첫 번째 주제] 보겠습니다. 요즘 탄핵 정국 관련해서 2030 세대 얘기가 많죠? <br><br>그도 그럴게 전국 대학가, 지금 두 쪽으로 갈라졌습니다. <br> <br>대통령 탄핵 찬반 두고요. <br><br>Q.오늘도 찬반집회 열렸죠? <br><br>서강대 정문에선 탄핵 찬성을 후문에선 탄핵 반대를 외쳤습니다. <br><br>Q. 여긴 어딘가요? <br><br>건국대인데요.<br> <br>탄핵 반대 외치던 학생들, 건대생 맞다며 학생증도 들어보이고요. <br> <br>이대에선 학생들끼리 충돌하며 아수라장이 됐습니다. <br><br>[탄핵 찬성파]<br>계엄령 지지하면서 무슨 표현의 자유입니까! <br><br>[반대파] <br>“이거 불법이에요!”<br> <br>[찬성파]<br>“쿠데타 옹호가 어떻게 합법입니까!”<br> <br>[반대파]<br>“저희가 집회 신청 했다고요!”<br> <br>[찬성파]<br>“쿠데타 옹호하는 게 무슨!” <br><br>Q.2030 세대를 바라보는 시각도 엇갈리고 있죠? <br><br>그제 국회 찾은 황현필 한국사 강사, 20대 보수화의 원인은 역사교육 부재 때문이라는데요. <br><br>국민의힘은 민주당 역사교육이나 잘 하라고요.<br><br>[김용태 / 국민의힘 의원 (오늘)]<br>역사 교육을 다시 받아야 할 사람은 2030세대가 아니라, <민주당의 586운동권 세력> <br><br>Q. 전한길 강사도 국회 찾았잖아요? <br><br>전 강사, 2030이 탄핵 반대 주역이라고 했죠. <br> <br>어제 윤상현 의원과 국회 등판했다가 공격 타깃 됐습니다. <br><br>[전한길 / 한국사 강사 (어제)]<br><헌법재판소>는 <가루>가 되어 사라질 것이다… 건물을 폭파시킨다보다는 <존재 이유>가 없다… <br> <br>[윤상현 / 국민의힘 의원 (어제)]<br>'가루가 된다'라는 것은 신뢰를 많이 잃었다 <2030 세대들>을 보면 (헌법재판소)불신율이 50%가 훨씬 넘습니다. <br><br>민주당, '가루가 될 것'이라 한 전 강사 회견 주선한 윤상현 의원에 대해 윤리위 제소 검토한다고요 <br><br>Q.[다음 주제] 보겠습니다. 어제 한동훈 전 대표 자서전 사려고 지지자들이 오픈런을 했는데 공격런은 뭡니까? <br><br>정치권, 한 전 대표 공격 위해 일제히 달려들고 있는데요. <br> <br>먼저 민주당, 이재명 대표를 비판한 책 내용에 발끈했습니다. <br><br>한 전 대표가 책에서 "이 대표를 계엄할 수 있는 사람"이라 했죠. <br> <br>"대통령 되면 유죄 막으려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"면서요. <br><br>Q.민주당 반응은요? <br><br>추미애 의원, 이 대표 욕한다고 용이 되냐며 날 세웠고요. <br> <br>최민희 의원은 한 전 대표야말로 계엄할 수 있는 인물이라며 공격했습니다. <br><br>[박지원 /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, CBS 라디오 <김현정의 뉴스쇼>)]<br>이재명을 공격하면 이재명 반열에 설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천만의 말이에요. <br><br>Q. 일부 보수 진영도 싸늘하던데요? <br><br>보수 잠룡들. 오히려 무시로 일관하더라고요. <br><br>[이준석 / 개혁신당 의원 (어제)]<br>제가 다른 정치인 책을 한 1년에 한 권 정도는 읽어보는데, <br> <br>[이준석 / 개혁신당 의원 (어제)]<br>이번 책은 안 읽어 볼 것 같습니다. 모르는 내용이 없을 것 같아 가지고. <br><br>[황순욱 / 채널A 앵커]<br>한 전 대표가 곧 복귀한다던데? <br> <br>[홍준표 / 대구시장]<br>그런 배신자는 싫어요. <br><br>한 대표 측은 굳이 대응 않겠다고요. <br><br>Q. [주제 하나 더] 보겠습니다. 요즘 여권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 찾는 일이 잦던데, 일은 언제 하냐니요? <br><br>A. 이 전 대통령, 정부가 한창 일할 때인데 못해서 어쩌냐며 걱정 늘어놨는데요. <br> <br>'일벌레'로 소문난 MB, 오늘도 '일타령' 했습니다. <br><br>[이명박 / 전 대통령(오늘)] <br>오! <br><br>[이명박 / 전 대통령(오늘)] <br>우리 당 대표가 인물이 좋아서 <br> <br>[권영세 / 국민의힘 비대위원장(오늘)] <br>대통령님께 처음 듣는… <br><br>[이명박 / 전 대통령(오늘)] <br>이거 찍는 친구 참 오래됐다! <br> <br>[이명박 / 전 대통령(오늘)] <br><보수 정당>이 생긴 이후 가장 어려운 때 같아. <br><br>[이명박 / 전 대통령(오늘)] <br>한창 정부가 <일>을 할 때인데… 임기 반 지나서 <일>을 할 때인데, 국가적으로 얼마나 손해인지 몰라. <br><br>Q. 탄핵 정국으로 정부의 동력이 멈췄단거죠? <br><br>A. 맞습니다. 이 전 대통령, 과거 '일하는 정부' 내세웠죠. <br> <br>조찬 회의 자주 열어 '아침형 대통령'이라 불렸고요. <br><br>[이명박 / 당시 대통령(2008년 12월)] <br>현장에서 땀흘려 <일>하면서 얻는 경험이 더 값진… <br> <br>[이명박 / 당시 대통령(2011년 12월)] <br>중동 건설현장에 나간 우리 아버지들은 사막 속에서도 <일>했습니다 <br> <br>[이명박 / 당시 대통령(2013년 2월)] <br><일하는 시대>를 열고, (0450) 대한민국의 <일꾼>이 되고자 했던 것입니다. <br><br>Q. 저 정도면 쉬는 날이 없겠어요? <br><br>A. MB는 빌게이츠도 토요일에 일한다며 신산업 시대, 일은 밤새워 하는 것이라던데요. <br><br>현직에 있을 때나 지금이나 일 걱정만큼은 진심인 듯합니다. (일에진심) <br><br>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성혜란 기자·김민정 작가 <br>연출·편집: 박소윤PD, 황연진AD <br>디자이너: 박정재<br /><br /><br />성혜란 기자 saint@ichannela.com